그나마 다행인 점은, 저 723명이 하루 확진자가 아니라, 이전 확진자 중 누락자를 포함한 수치라고 합니다. 물론 그래도 적은 숫자는 아니지만, 하루 사이에 폭증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위안 삼습니다.
어렵게 마음 먹고 준비한 대만 유학 길인데, 시작부터 많이 삐걱거리는 느낌입니다. 그래도 아직 두 달 정도 남았고, 준비해야 할 것도 많으니 조금 더 여유를 갖고 기다려 보려 합니다.
대만과 관련된 국내 커뮤니티들을 참고하면,
워홀, 유학 등으로 대만 내에 체류 중인 한국분들이 귀국을 서두른다는 글도 보이는 것 같습니다.
현재 대만 내에서 자가격리 중이거나 자가격리가 끝나가는 분들 입장에서는 정말 황당할 것 같습니다.
신규 확진자가 0일 때 들어갔다가, 급증하고 있으니 자가격리가 끝나더라도 계획대로 진행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.
제가 MBA를 준비하기 시작한 건, 경영학부 졸업생으로서 한계를 느끼기 시작해서입니다.
취업이나 진로 뿐아니라, 개인적인 성취면에서도 아쉬움이 많이 남았습니다.
예를 들어, 카카오, 네이버, 삼성전자 등의 국내 대기업들에 취업하기 위해서, 서울 내 중상위권 이상 대학의 경영학과를 졸업했다는 것은 큰 스펙이 되지 못합니다. 제가 졸업하고 취업을 준비할 당시만 해도, 졸업한 대학 이름보다 개인의 스펙이 중요하다는 말이 많았고, 사람들은 스펙 쌓기에 열중했습니다.
그런데, 제가 졸업하고 막 일하기 시작했을 때 쯤, 코로나가 시작되었고,
경제가 안 좋아지면서 취업의 문도 줄어들었습니다.
저는 운 좋게 그 전에 일을 하기 시작했지만, 혹시나 모를 일에 대비해서 개인 스펙을 키워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.
그런데, 영어 점수는 다들 기본이고, 지금 중국어나 일어를 공부하기엔 경쟁력이 많이 부족하다 싶었습니다.
저는 비즈니스 모델, 기술 경영 등 기술 산업 분야에서 능력을 갖춘 전문가가 되고 싶었는데,
저서나 논문, 연구자료를 읽어도 저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보일 만한 증거가 부족했습니다.
그래서 개인적으로 케이스 스터디 자료도 만들고, 독후감(?)도 써가며 포트폴리오 자료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.
그러던 중 MBA 과정에 대해 고민해보게 되었고, 더 큰 세상을 보며 배우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
사실 아직 그 많은 고민 중에서도 'MBA를 통해 무엇을 하겠다'라고 정한 것은 아닙니다.
그저 더 많은 기회를 갖고 싶을 뿐이고, 제가 좋아하는 분야에서 더욱 전문가가 되고 싶습니다.